국가건설기준

철근의 피복 두께 기준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 KDS 14 20 50)

우후슬슬 2021. 11. 7. 17:16
728x90

 

KDS 14 20 50 : 2021

콘크리트 구조 철근 상세 설계기준이

20210218일 개정되었습니다. 

 

4.3 최소 피복 두께

 

4.3.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 장치기 콘크리트

 

구분 두께(mm)
수중에서 치는 콘크리트 100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75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D19 이상의 철근 50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40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슬래브, 벽체, 장선 D35 초과하는 철근 40
D35 이하인 철근 20
보, 기둥 40
, 절판부재
20

4.3.2 프리스트레스 하는 부재의 현 장치기 콘크리트

 

구분 두께(mm)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75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벽체, 슬래브, 장선구조 30
기타 부재 40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슬래브, 벽체, 장선 20
보, 기둥 주철근 20
띠철근, 스터럽, 나선철근 30
쉘, 절판부재 D19 이상의 철근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10

 

4.2.1 원칙

① 휨부재, 벽체, 압축 부재에서의 유효 깊이에 대한 허용오차와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에 대한 허용오차는 표 4.2-1에 따라야 한다.

 

표 4.2-1 허용오차

 

유효깊이(d) 허용범위 콘크리트 최소 피복 두께1)
≤200mm ±10mm -10mm
>200mm ±13mm -10mm

 

주 1) 다만, 하단 거푸집까지의 순 거리에 대한 허용오차는 -7mm이다. 또한 모든 경우의 피복 두께 허용오차는 도면 또는 구조기준에서 요구하는 최소 피복 두께의 -1/3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전문도 첨부해 드립니다, 

 

기준이 계속 변경되다 보니 확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KDS 14 20 50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hwp
0.23MB

 

KCSC

 

www.kcsc.re.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