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오고 있습니다.
콘크리트공사는 주요구조부를 형성하는 공사로 동절기 중점관리가 필요한 공사입니다.
양생관리를 통해 초기 동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표준시방서
KCS 14 20 40 : 2021
한중 콘크리트
2021년 02월 18일 개정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한중 콘크리트의 재료 및 시공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2) 하루평균기온이 4 ℃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있으므로 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1.3 용어의 정의
∙급열양생(heat curing) : 양생기간 중 어떤 열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양생
∙단열양생(insulating curing) : 단열성이 높은 재료로 콘크리트 주위를 감싸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하여 보온 하는 양생
∙피복양생(surface-covered curing) : 시트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양생
∙현장봉함양생(sealed curing at job site) : 콘크리트가 기온이 변화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의 출입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 공시체의 양생
∙초기 동해(early frost damage) : 응결 및 경화의 초기에 받는 콘크리트의 동해
표 3.4-1 한중콘크리트의 양생 종료 때의 소요 압축강도의 표준(MPa)
단면 구조물의 노출 |
얇은 경우 | 보통의 경우 | 두꺼운 경우 |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 15 | 12 | 10 |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 5 | 5 | 5 |
표 3.4-2 소요의 압축강도를 얻는 양생일수의 표준(보통의 단면)
시멘트의 종류 구조물의 노출상태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 조강포틀랜드 보통포틀랜드+촉진제 |
혼합시멘트 B종 |
|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 5 ℃ | 9일 | 5일 | 12일 |
10 ℃ | 7일 | 4일 | 9일 | |
(2) 보통의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 5 ℃ | 4일 | 3일 | 5일 |
10 ℃ | 3일 | 2일 | 4일 |
표 3.5-1 한중콘크리트의 온도관리 및 검사
항목 | 시험·검사 방법 | 시기·횟수 | 판정기준 |
외기온 | 온도측정 | 공사시작 전 및 공사 중 |
일평균기온 4 ℃ 이하 |
타설 때의 온도 | (5 ~ 20) ℃ 이내 및 계획된 온도의 범위내, 계획하는 온도의 범위는 3.2 운반 및 3.3 타설에 적합할 것 | ||
양생 중의 콘크리트온도 혹은 보온양생된 공간의 온도 | 계획된 온도 범위 내, 계획할 온도 범위는 3.4 양생에 적합할 것 |
전문 첨부드립니다.
KCSC
www.kcsc.re.kr
'국가건설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스 콘크리트 KCS 14 20 42 : 2021 (0) | 2021.11.12 |
---|---|
경량골재 콘크리트 KCS 14 20 20 : 2021 (0) | 2021.11.12 |
일반콘크리트 용어 정의 KCS 14 20 10 : 2021 (0) | 2021.11.11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는 일반콘크리트 (KCS 14 20 10)에 있습니다. (0) | 2021.11.10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11호 건축공사 표준시방서(KCS 41) 제·개정 고시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