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건설기준

고내구성 콘크리트 KCS 41 30 03 : 2021 (2021년 8월 13일 개정)

by 우후슬슬 2021. 11. 22.
728x90

KCS 41 30 03 : 2021

고내구성 콘크리트 공사

2021813일 개정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해풍, 해수, 황산염 및 기타 유해물질에 노출된 콘크리트로서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공사의 자재 및 시공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2) 이 기준에서 대상으로 하는 고내구성 콘크리트 공사는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콘크리트 공사이며, 구체적인 적용범위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2-1 골재의 품질

항목


종류
절대건조
밀도
(g/)
흡수율
(%)
실적률
(%)
점토량
(%)
No.200
통과량
(%)
유기불순물 안정성
(%)
굵은골재 0.0025 이상 2.0 이하 59 이상 0.25 이하 1.0 이하 12 이하
잔골재 0.0025 이상 3.0 이하 1.0 이하 2.0 이하 표준색 이하 10 이하
 

3. 시공

3.1 품질 및 배합

(1) 설계기준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에서는 21MPa 이상, 40MPa 이하,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21MPa 이상, 27MPa 이하로 하며, 이외의 부분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 슬럼프는 120mm 이하로 하고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유동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120mm 이하,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210mm 이하로 하여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재·배합상의 규정은 다음 ①∼⑤에 따른다.

 

단위수량은 175kg/m³ 이하로 한다.

단위시멘트량의 최소값은 보통 콘크리트에서는 300kg/m³,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330kg/m³로 한다.

물결합재비의 최대값은3.1-1에 따른다. 표에 나타낸 것 이외의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의 물결합재비 최대값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콘크리트에 함유된 염화물량은 염소이온량으로 0.20kg/m³ 이하로 한다.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온도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타설 시의 콘크리트 온도는 3이상, 30이하로 한다.

 

(4) 계획배합은 시험비빔을 하여 정하고, 발주자 대리인의 지시에 따른다.

 

(5) 배합강도를 정하는 방법은 KCS 14 20 10(2.2)에 따른다.

 

(6) 시험비빔의 방법 및 시험항목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1-1물결합재비의 최대값(%)

콘크리트의 종류
시멘트의 종류
보통 콘크리트 경량골재콘크리트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특급
실리카 시멘트 A
플라이 애시 시멘트 A
60 55
고로 슬래그 시멘트 1
실리카 시멘트 B
플라이 애시 시멘트 B
55 55
 

3.5-1 콘크리트 부재의 위치 및 단면치수의 허용차의 표준값

항 목 허 용 오 차
설계도에 표시된 위치에 대한 각 부분의 위치 ±20
기둥, , 벽의 단면치수 5, 15
바닥슬래브, 지붕슬래브의 두께 0, 15
기초의 단면치수 5
 
전문은 첨부로 공유드립니다. 
 

 

 

 

KCSC

 

www.kcsc.re.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