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건설기준

거푸집 및 동바리 구조계산 KCS 14 20 12 : 2021

by 우후슬슬 2021. 11. 14.
728x90

KCS 14 20 12 : 2021

거푸집 및 동바리

20210218일 개정

 

 

1.6.3 거푸집 및 동바리 구조계산

 

(1) 거푸집 및 동바리는 구조물의 종류, 규모, 중요도, 시공 조건 및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연직하중, 수평하중 및 콘크리트의 측압 등에 대해 설계해야 하며, 동바리의 설계는 강도뿐만이 아니라 변형 등 안전성을 고려한다.

 

(2) 연직하중은 고정하중 및 공사 중 발생하는 활하중으로 다음의 값을 적용한다.

 

     ① 고정하중은 철근콘크리트와 거푸집의 중량을 고려하여 합한 하중이며,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은 철근의 중량을 포함하여 보통 콘크리트 24 kN/, 1종 경량골재 콘크리트 20 kN/그리고 2종 경량골재 콘크리트 17 kN/을 적용하여야 한다. 거푸집 하중은 최소 0.4 kN/이상을 적용하며, 특수 거푸집의 경우에는 그 실제의 중량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② 활하중은 구조물의 수평투영면적(연직방향으로 투영시킨 수평면적)당 최소 2.5 kN/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전동식 카트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3.75 kN/의 활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 콘크리트 분배기 등의 특수 장비를 이용할 경우에는 실제 장비하중을 적용하고, 거푸집 및 동바리에 대한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③ 상기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합한 연직하중은 슬래브두께에 관계없이 최소 5.0 kN/이상, 전동식 카트를 사용할 경 우에는 최소 6.25 kN/이상을 고려하여 거푸집 및 동바리를 설계한다.

 

(3) 수평하중은 고정하중 및 공사 중 발생하는 활하중으로 다음의 값을 적용한다.

 

     ① 동바리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는 고정하중의 2% 이상 또는 동바리 상단의 수평방향 단위 길이 당 1.5 kN/m 이상 중에서 큰 쪽의 하중이 동바리 머리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가새설치 여부를 검토한다.

 

    ② 벽체 거푸집의 경우에는 거푸집 측면에 대하여 0.5kN/이상의 수평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그 밖에 풍압, 유수압, 지진, 편심하중, 경사진 거푸집의 수직 및 수평분력, 콘크리트 내부 매설물의 양압력, 외부 진동다짐에 의한 영향하중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때에는 별도로 이들 하중을 고려한다.

 

    ④ 바닷가나 강가, 고소작업에서와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서는 KDS 41 10 15 또는 KDS 24 12 21 등에 따라 풍하중 검토를 필수적으로 고려한다.

 

 

전문 첨부드립니다. 

 

KCS_14_20_12_거푸집 및 동바리.hwp
0.22MB

 

728x90